행복(幸福) 인류의 오랜 숙제는 행복한 삶에 도달하는 것에 있다. 행복해지기 위하여 오늘의 고단함과 고통을 견디는 것이라 말할 수 있지만, 행복할 행(幸)자의 구성 원리를 알게 되면 좀 다른 인식을 갖게 되는 것이 행(幸)이라는 문자이다. 흙 토(土)자와 양의 모습을 상징하는 양(羊)자가 조합해서..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5.03
정치(政治) 20대 국회의원을 뽑는 투표가 불과 몇 시간 전에 끝이 났다. 투표 결과에 대한 예측치인 이른바, 출구 조사가 함께 실시돼 발 빠르게 희비가 엇갈리는 분위기로 뉴스가 갈무리 되었다. 16년 만에 여소야대 정국이 형성될 거라는 예측과 승패가 갈리는 각각의 후보들을 영상에 담는 분주한 ..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4.13
시詩 잡문이나 시를 원고지에 써서 우편으로 보내거나 직접 신문사에 제출했던 일들이 엊그제 같은데, 어언 30년이 흘렀다. 컴퓨터와 모바일을 통해 원고를 보내면 순식간에 처리되는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변화의 폭과 넓이를 가늠조차 어려운 시간들이었다. 하루 온종일 매달..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4.06
결혼제도 사람을 사회계약적 관계로 이끌어내 합법적 가족의 구성원으로 만드는 대표적인 제도가 결혼이다. 인류가 채집과 사냥 중심의 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전환하면서 비로소 제도화된 장치이다. 노동력 확보와 가계 존속의 수단은 물론, 사회화과정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능을 담..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3.30
친구 인간의 말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단어를 고르라하면, 엄마 아빠 친구 사랑 등을 꼽을 수 있다. 부모는 자녀의 영혼과 육신을 보육하는 최상의 인큐베이터이자 미래의 길라잡이로서 무게감 넘치는 표현으로 천륜관계라 부르고 있다. 그래서인지 언제 어느 때곤, 아무렇게나 불러도 질리거..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3.16
젓가락 젓가락은 동북,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식사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식탁에서 음식을 자르고 찍어서 먹는 문화권에서는 칼과 포크가 필요하지만, 밥과 채소와 생선 등을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에서는 숟가락과 더불어 필수 요소가 된다. 젓가락은 한자말 저(箸)와 긴 막대를 의미..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3.06
대화 현대라는 시간대를 어깨에 짊어진 동시대인들. 다시 말해서, 현대인들은 독자적인 섬을 하나씩 들어 올리고 사는 신화의 주인공처럼 고독하기 짝이 없다. 인간에게 지혜의 불을 선물한 프로메테우스의 형벌과 그의 동생 아틀라스가 힘겹게 들어 올리고 있는 하늘의 무게감에 비할까마는..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3.01
복(福) 인류가 역사시대를 맞이하고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을 세상에 내놓았지만, 정작 기록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인물은 지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 가운데 부처라 일컫는 석가모니는 인류역사상 가장 독특한 캐릭터를 지닌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2.25
만남 만나다 마주치다 맞대다 등의 단어들에 내포돼 있는 공통분모는 가까움이다. 상황 전개에 따라 긍정과 부정으로 갈리지만, 대부분 동질적 요소들에 양자가 공감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만남은 서로에게 굳건한 결속의 시금석으로 자리 잡는다. 오늘따라(13/2) 유난히 만남이란 명사가 특..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2.15
설 설은 우리의 최대 명절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추석이라 일컫는 팔월 한가위와 더불어 한반도의 달력을 흥겨움에 젖게 만드는 대표적인 축제인 것이다. 보름 마다 계산하여 제정한 24절기와 그 시기에 맞춰 여러 의미를 두었던 각종 명절들은 선조들에겐 삶 그 자체이기도 했다. 일.. 주간 워싱턴 코리안 위클리 칼럼 2016.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