閑談
角, 時 그리고 오늘
濟 雲 堂
2010. 6. 3. 00:44
삼 백 여통이 넘는 문자 메시지
난 데가 너무도 분명한 이 백 여통의 발신지 전화
그렇게 며칠이 지났다
안 받기도 멋쩍고
들춰보지 않으면 안 될 낯익은 번호들이
수 없는 구호와 요청 그리고 의당히 결정내려줄 것을 촉구했다
반복의 연속이었다
단절되기 때문에
통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라고
거의 같은 내용의 이야기들이
반복적으로 앵무새처럼 뇌까리는
이구동성들
오후로 접어들면서부터
전화기가 잠잠해졌다
먹통처럼 검은 짐을 짊어진
계단에 처박아 둔 낡은 전화기의 그 것이었다
모처럼 휴식이었다
같은 공간
혹은 비슷한 살림을 치르는
인간계의 고도한 전략적 제휴가
비로소 이루어지는 순간
평화였을까
집단적으로 아니, 온 국민의 절반에 가까운 선객들이
오랜 만에 간편한 옷차림으로 휴일을 맞아
투표장으로, 바깥 나들이 했을 무렵
일각에서
먹다 남긴 음식에 대해
유쾌한 식성이 도발할 수 없음을 경험한
식객의 시선 속으로
누군가가 3D 영상처럼 총천연색으로 등장했다
일회용 스티로폼 그릇에 남긴 뭔가를
단숨에 마셔버린 그
그나마 뭔가를 갖고 사는 사람의 사회가 폐기 처분해버린
사용불가의 틈에서 건져올린
하얀 보따리
오늘은 그렇게 되는 날
아니, 절대다수라는 명목과 명분으로
소수가
상대적 빈곤으로 접어드는 날
과연 어느 게
완
전
한
사
회
로
가
는
길
인
가